♬ 클래식

베토벤의 머리카락(2편)

◈ 라헬 ◈ 2005. 7. 23. 07:47




☆ Beethoven’s Hair II ☆ For the Second Anniversary of Arthill
        베토벤은 우리가 알다시피 음악의 천재입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이 그의 천재성 만큼 아름답고 밝았던 것만은 아닙니다. 그는 나름대로 미스테리의 사랑이야기를 가지고 있는데 베토벤이 죽은 다음, 그의 서랍 속에는 다음과 같은 세 통의 편지가 발견되었죠. 연대도 수신인의 이름도 적히지 않는 이 일련의 편지는 다만7월 6일 아침에서 7월7일 아침까지 이틀동안에 걸쳐 쓰여졌다는 것이 명백할 뿐입니다.
        흔히 불멸의 여인 meine unsterbliche Geliebte 에게 보낸 서신으로 알려진 이 세 통의 수수께끼의 상대 그 불멸의 여인은 도대체 누구였을까요? 여러명의 후보자로는 쥴리에타 기차르디(Guilletta Guicciardi), 베를린의 소프라노가수 아말리 제발트(Amalie Sedald), 테레제 부룬스빅(Therese von Brusvik), 요세피네(JOSEPHINE VON Brusvim)등을 손꼽을 수 있는데, 베토벤이 요세피네에게 보낸13통의 비공개 서한이 발표되자 요세피네가 가장 유력한 불멸의 여인으로 클로즈업되었읍니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여전히 신비에 싸여 있지요.
        다시 장소는 미국 아리조나의 메디컬센타 Guevara는 조심스레 볼록한 유리상자를 뜯고있었고 주위에 많은 자들이 숨을 죽이고 지켜 보고 있었습니다. 순간 ‘폭’하고 공기가 진공된 상자속으로 들어가는 소리가 들렸어요. 1911 년 재봉인된이래 약 80여년만에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세상의 공기에 노출이 되었습니다. 아무런 냄새는 나지 않았습니다. 인류학자 Walter Birkby는 이것이 약 200여년된 인간의 머리카락임을 확인했습니다. 이속에 있는 철의 성분분석에 들어갔습니다. 아연, 납, 수은 등의 성분이 검출된다면 당시 베토벤의 병의 원인을 발힐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머리카락의 시험은 이미 1970년대 나폴레옹의 머리카락을 실험한적이 있는데 이떄 결과로 는 일부 역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나폴레옹이 독살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뒷바침하지 못했지 요. 나폴레옹의 머리카락에서는 독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었습니다.
Napoleon
        Che Geuvara 는 이 실험이 FBI수준의 정밀검사로 진행됨을 말하였습니다. 당시 73세의 Ira Brilliant는 왜 이런 일을 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나의 베토벤에 대한 흥미는 내안에 타오르는 불꽃과 같아요, 나는 그의 편지등을 수집해왔고 무언가 베토벤자신을 가졌으면 해 왔습니다.’ 사실 그는 런던 Sotheby의 카타로그에 베토벤의 머리카락이 있는거 보고 친구이 자 같은 베토벤열광자인 Che에게 전화에 이를 구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베토벤은 귀가 들리지 않았고 신장염으로 고생했죠, 그는 간염에 걸렸고 또한 많은 위장관 련 병에 시달렸읍니다. 이러한 사실을 주지할떄 그의 음악의 천재성은 보통사람에게서 나온 음악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170여년전의 비엔나거리를 베토벤은 머리를 이마아래까지 휫날리며 것고잇었을것입 니다. 그의 얼굴은 어릴적 앓았던 천연두로 거뭇거뭇한 자국이 있었으며 이마는 넓었읍니다. 그는 보통보다 작았고 30여년 앓아온 장페색으로 그는 더이상 건장하지도 훌쩍하지도 않았 습니다. 그가 비엔나로 온지 30여년만에 아주 알아주는 음악가가 되었지만 그는 귀가 잘들리지 않 는 상태에서 도시를 거닐었읍니다. 거리마다 악기를 들고 불어대는 자들이 있었고 고개를 숙이고 지나가는 베토벤을 알아보는 자들이 처다보거나 가벼운 인사를 하였지만 땅만 주시 하며 걸었지요. 이제 그는 자신의 상상속의 음만을 들을수가 있었습니다.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은 그의 할아버지와 이름이 같았습니다. 그는 그할아버지로 부터 음악적 재능을 이어받았다고 생각을 했지요. 베토벤의 아버지 Johann은 court choir에 서 싱어였고 피아노와 바이올린은 그럭저럭 치는 정도였습니다. 그의 아내, 베토벤의 어머 니, Maria Magdalena Keverich는 이미 전남편과 사별하고 죠안과 21번쨰 생일 몇일전 결 혼하였는데, 전남편의 아기는 태속에서 죽고 둘쨰아이인 Ludwig Maria는 낳은지 6일만에 죽었습니다. 이제 이름이 Maria van Beethoven으로 된 어머니는 지성미가 있고 온화하였으 며 친절하였습니다. 반면 아버지 죠안은 허풍스럽고 산만한 성격으로 아버지, 베토벤의 할 아버지, 죽음후에는 주벽이 심하였다합니다.
        사람의 머리카락이 한달에 약 1과 1/2인치가 자라나는 것을 생각할때 베토벤이 남긴 머리 카락은 아마 그의 마지막 6-12개월 사이에 베토벤의 몸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먼저 약 20여개의 머리칼이 방사면역검정법에 의해 베토벤의 마지막 생애에 마취성 진통제 를 복용했었는지 실험을 하였습니다. 결과는 Negative로 나왔고 이는, 베토벤이 모르핀과 같은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합니다. 베토벤은 그의 의사인 Andreas Wawruch 에게 마지막 침상에 있는동안 75병의 약을 받아 복용했다합니다. 베토벤의 당시 비서인 Anton Schindler에 의하면 의사는 너무 많은 약으로 베토벤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베토벤은 의사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Wawruth가 베토벤에게 어떤 약을 주었는지는 기록에 남지 않았습니다. 두번째 실험은 Illinois주 Naperville의 HRI & Pfeiffer Research Center에서 William Walsh박사에 의해 금속성분 추출작업에 들어갔습니다. 그의 당시 발표에 의하면 높은 납(lead)농도가 검출되었고, 이는 베토벤이 납으로 인한 연독(Plumbism)으로 괴로움을 당했고, 이는 그를 평생 병으로 시달리게 했으며 그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 으며 아마도 그의 사망에 결정적 역할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아주 적은량의 수은이 발견되었으나, 이는 베토벤이 매독에 결려 1820년대 당시 치료제로 쓰인 수은제가 사용되었음을 입증하지 못하였습니다. 이로인해 일부 학자들이 베토벤이 매 독으로 인해 죽었다는 주장은 거의 설득력을 잃었습니다. 이외에도 DNA검사등이 이루어졌는데, 결과를 종합적으로 이야기한다면; 베토벤은 아마도 당시 식수에 함유되었던 납으로 인해 그의 질병을 초래하였다는 확정적 결과입니다.
Beethoven’s Center at San Jose State University
        이제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죠세대학의 Beethoven Center, 워싱턴의 Library of Congress, Connecticut의 University of Hartford, 런던의 British Library, 오스 트리아 비엔나의 Gesellschaft der Musikfreunde, 독일 본의 Beethoven-Haus에서 전시되 어 볼수가 있습니다. 후기에 귀가멀어 소리를 들을수 없었던 베토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드디어는 최고의 음악가가 된 베토벤… 자연의 소리가 들리지 않았기에 그는 자신만의 상상속의 음으로 환상적인 음악을 만들었습니다. 베토벤의 음악을 다시한번 새롭게 들어보며 이만 마칠까 합니다.
        후기: 상기 베토벤의 머리카락에 관한 내용은 본인(Valse-Love)이 BBC drama Beethoven’s Hair 를 시청하며 흥미를 느껴, TV시청 당시의 기억과 몇군데의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 한 것이므로 일부 내용이 부정확할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베토벤의 메리카락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Russell Martin이 지은 Beethoven’s Hair: An Extraordinary Historical Odyssey and a Scientific Mystery Solved (Broadway, 2000)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트힐2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회원여러분의 앞날에 축복이 가득하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Beethoven: Piano Sonata No. 14 Moonlight 3악장 Presto agitato Piano by Emil Gilels Valse-Love-_-

..http://cafe.daum.net/arthill

'♬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발디 사계 중 겨울 / Bond(크로스오버 현악 사중주단)  (0) 2005.07.28
조수미의 입맞춤  (0) 2005.07.23
베토벤의 머리카락(1편)  (0) 2005.07.23
첼로의 연주  (0) 2005.07.20
쇼팽의 겨울바람  (0) 200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