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eethoven’s Hair - I☆
For the Second Anniversary of Arthill
Beethoven’s hair
당신은 베토벤의 머리카락(Beethoven’s hair)이야기를 들어보신적이 있나요?
음악의 천재 베토벤
우리몸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는 머리카락
이둘의 만남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1995년 12월 미국 Tucson의 University of Arizona 메디컬센타에는 전 부동산개발업자
이자 베토벤에 그야말로 미처버린 Ira Brilliant, 멕시코계의 의사 Che Guevara, 그리고
그외 인류학자, 의학사진가, 의학실험가, 지역뉴스팀, 영국 BBC 촬영팀등이 기록서기관들과
함께 200여년만에 세상의 공기에 노출되는 베토벤의 머리카락 봉인을 뜻고 있었습니다.
볼록한 유리로된 보관소엔 베토벤의 머리카락이 들어있었고, 밑판 프레임에는 Paul Hiller
라는 사람이 독일어로 기록된 문구와 싸인이 있었습니다.
영어번역은 : This hair was cut off of Beethoven's corpse by my father, Dr. Ferdinand v.
Hiller, on the day after Ludwig van Beethoven's death, that is, on 27 March 1827, and
was given to me as a birthday present in Cologne on May 1, 1883. Paul Hiller [English
translation]."
굳이 한국어로 말하자면 이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자신의 아버지인 Ferdinand Hiller 가
베토벤이 죽은날 1827년 3월 27일, 그의 시신에서 잘라낸것으로 나에게 1883년 3월
1일 생일선물로 줬다라는 내용입니다.
이제 이야기는 베토벤의 시기로 돌아갑니다
음악의 천제 베토벤은 죽음을 앞두고 여러 생각에 잠기였습니다.
지나간 세월, 수많은 일들, 하지만 무었보다 음악에 대한 사랑은 그로 하여금 후세에
많은 영리한 젊은이들이 음악을 사랑하고 발전 시켜주었으면 하는 바램이였습니다.
어느날 베토벤은 Ferdinand Hiller라는 유대인 출신의 젊은 청년의 문병을 맞이합니다.
당시 베토벤의 최후를 보려 많은 자들이 문병을 원하였다합니다.
이자리에서 베토벤은 Ferdinand를 부릅니다
“여보게 젊은이! 이리 가까이좀 와보게. 내가 할말이 있어” 젊은 Ferdinand는 베토벤의 침
상옆으로 다가갔지요. 베토벤은 죽음을 얼마 두지 않았기에 들릴까 말까 하는 목소리로 그
에게 속삭입니다. “나는 이제 곳 저세상 여행을 하여야 할것 같으네, (I rather think I shall
soon be setting out on the upward journey) 젊은이 당신의 인생을 예술을 위해 투자하게
나!”
유대계 독일인 Ferdinand는 지휘자이며 음악을 가르쳤는데 당시 15세의 나이에 비엔나를
베토벤의 마지막을 보려 갔다합니다. 그는 3월 13일과 20일 베토벤을 문병하였습니다.
얼마후 베토벤은 마지막 숨을 거두고 맙니다.
음악의 천재의 머리를 간직하고 싶던 Ferdinand의 요청이 받아 들여저 그는 머리카락을
가위로 조심스레 베어 소중히 보관합니다.
그후 자신의 아버지인 Ferdinand 로부터 생일선물로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선물받은 Paul
Hiller는 1911년 Cologne의 보관전문인 에게 이를 보이고 공기를 빼고 봉인을 합니다. 이
떄 그의 글과 싸인이 뒷면에 기록되었죠.
그후 이베토벤의 머리카락은 Hiller의 가족에게 이어져왔습니다.
덴마크에서 살던 가족들은 드디어 나찌시대를 맞이 합니다.
전세계를 향하여 선전포고를 한 히틀러
그는 특히 유대인을 그들의 적으로 몰아 모든자들을 잡아 아우쉬비츠(지금의 폴란드)등으로
집단 이송시킵니다. Hiller가족은 이들을 피하여 덴마크에서 스웨덴으로 배를 타고 넘어가
계속 죽음이냐/생존이냐의 갈림길에 놓이게 됩니다. 그들은 교회의 다락방에 숨어 목숨을
보존합니다.
저벅저벅들려오는 히틀러군대의 군화발자욱소리…
그들은 목숨부지의 원초적 본능에 모두 숨을 죽이고 이 악몽이 빨리지나가기만을 기다립니
다. 후에 Hiller가족은 그들을 도와 목숨을 건지게한 Kay Alexander Fremming 덴마크의사
에게 감사의 표시로 자신들이 소중히 간직하여 왔던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덴마크의 어느 고
기잡이 항구에서 선물합니다. 이때가 1943년 10월, 2차대전이 거의 종말을 향하여 가고있
고 나찌는 더욱 인종말살의 참극을 더할때이지요.
덴마크인들이 7천명이상의 유대인들을 숨겨주어 목숨을 보존케한 아름다운 이야기는
이 베토벤의 머리카락이야기에서 감동적인 부분입니다.
당시 독일 나찌군은 베토벤의 음악을 많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베토벤 자신이 이러한 사실을 알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그자신 나폴레옹을 위해 1804년 3번 교향곡을 작곡하였지만 나폴레옹이 황제에 즉위했다는
소식을 들은 베토벤은 제목을 ‘한 위대한 사람을 기리며’라고 적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
니다.
그이후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덴마크의사인 Fremming의 가족 자손들중 하나에 그저 보관되
어 있었고 1994년 그의 후손중 한명이 덴마크의 유물전문가에게 가져옵니다. 이 전문가는
이를보고 어찌해야될지 몰랐죠. 이게 정말로 베토벤의 머리카락이라면 대단한 일입니다. 그
는 영국 런던의 경매전문업체인 Sotheby를 통해 이를 팔기로 결정합니다.
한편 미국 아리조나의 Ira F. Brilliant와 그의 친구이며 의사인 Alfredo Guevara, 그리고
Caroline Crummey, Thomas Wendel 은 베토벤을 좋아하는 자들이였지요. 그들은 매년 베
토벤의 생일을 지금까지도 기념하며 ‘Happy Birthday Beethoven!”을 외치는 자들입니다.
이들로 구성된 American Beethoven Society는 드디어 런던을 와 이 음악의 천제 베토벤의
일부인 그의 머리카락을 3600파운드에 경매로 사갑니다.
소더비사 경매의 모습
실제로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싼가격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제 유럽에서 신대륙 미국으로 건너간 베토벤의 일부인 그의 머리카락 과연 어찌 될까요?
다음편에 이어 집니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 8번 비창 3악장
(Sonata for Piano NO. 8 "Pathetique" OP. 1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