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는 흙에 은혜는 돌에 새기세요
두사람이 정상을 목표로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산행중에 코스 문제로 서로 다투게 되었습니다.
한사람이 다른 사람의 뺨을 때렸습니다.
뺨을 맞은 사람은 기분이 나빴지만
아무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땅바닥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오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빰을 때렸다."
정상을 향하여 말없이 걸었습니다.
마침내 정상에 도착한 두 친구는
그곳에서 점심을 먹기로 했습니다.
뺨을 맞았던 사람이
산악회에서 나눠준 도시락만 있고
반찬은 하나도 가져오지 않았습니다
그때 뺨을 때렸던 친구가 반찬을 내밀며
같이 먹자고 했습니다.
맛있게 점심식사를 한 친구가
이번에는 돌에 이렇게 썼습니다.
"오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생명을 구해주었다."
그를 때렸고 또한 반찬을 준
친구가 의아해서 물었습니다.
"내가 너를 때렸을때는 흙에다가 적었는데,
왜 너를 구해준 후에는 돌에다가 적었지?"
친구는 대답했습니다.
"누군가가 우리를 괴롭혔을때
우리는 흙에 그사실을 적어야 해.
용서의 바람이 불어와
그것을 지워버릴수 있도록...
그러나 누군가가
우리에게 좋은일을 하였을때
우리는 그 사실을 돌에 기록해야 해.
그래야 바람이 불어와도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테니까."
우리 속담에
"원수는 물에 새기고,은혜는 돌에 새기라."
하는 말이 있습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맞는말인데
돌아보면 우리는
그것을 거꾸로 할때가 많습니다.
잊어서는 안될 소중한 은혜는
물에 새겨 금방 잊어버리고
마음에서 버려야 할 원수는
돌에 새겨 두고두고 기억하는것이지요.
은혜를 마음에 새기면 고마움이 남아
누구를 만나도 무슨일을
만나도 즐겁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마음에 원수를 새기고 나면
그것은 괴로움이 되어 마음속에
쓴 뿌리를 깊이 내리게 됩니다.
우리의 마음은 하나여서
은혜를 새기든 원수를
새기든 둘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한번 내 마음을 조용히 돌아봅시다.
지금 내 마음 속에 새겨져 있는것은
무엇인지를 돌아봅시다.
내 마음 가득히 원수를 새기고
쓴 뿌리를 키우고 있는것은 아닌지,
은혜를 새기고 늘 감사하며
살아가는지 돌아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옮겨온 글 -
|